-
[논문]
-
김용창, 2013.8.31.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의 주거권 규정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한국지역지리학회, 514-540.
-
김용창·최은영, 2013.8.31.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4호, 대한지리학회, 509-532.
-
김용창·이후빈·권규상, 2013.6.30.
「집적경제 요소로서 장소기반 신용이점: 서울 도심부 중부시장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제47권 2호, 국토지리학회, 183-200.
-
김용창, 2013.6.28.
「자산기반 주거복지정책으로서 단기 공공임대주택의 지분공유제 주택으로 전환」, 「공간과 사회」, 제23권 2호(통권 44호), 한국공간환경학회, 5-39.
-
김용창외 10명, 2013.6.28.
「한국공간환경학회 미래 발전을 위한 초청 간담회」, 「공간과 사회」, 제23권 2호(통권 44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84-320.
-
김용창(교신), 최은영, 권순필, 2012.12.31.
「2011년 신기준에 의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변화(1995~2010년)」, 「부동산학연구」, 제18집 제4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1-195.
-
김용창, 2012.9.28.
「미국 도시개발사업에서 사적이익을 위한 공용수용: 연방 및 주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74권, 국토연구원, 127-148.
-
김용창, 2012.9.28.
「건국 초기와 19세기 미국에서 재산권 사상과 사적이익을 위한 공용수용」, 「공간과 사회」제22권 제3호(통권 41호), 한국공간환경학회, 66-99.
-
김용창, 2012.6.30.
「경제 하부구조 관련 공기업의 해외투자에 대한 연구(2): 해외 하부구조투자의 유형과 성격, 국적성의 문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한국경제지리학회, 166-191.
-
김용창, 2012.04.30.
「왜 시·공간 통합적 사고가 필요한가?: 데이비드 하비, 『자본의 한계』」,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3』,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353-385.
-
김용창, 2012.04.
미국 도시재생사업과 사유재산권 보호의 차별: 법제지리학의 관점」, 『대한지리학회지』, 제47권 제2호, 245-267.
-
김용창, 2012.03.10.
「인간 삶의 근본 터전으로서 토지와 주택」,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 탐색』(제2개정판), 한울아카데미.
-
김용창, 2012.03.
「경제 하부구조 관련 공기업의 해외투자에 대한 연구(1): 이론적 고찰, 공기업 FDI 특징 및 전략」,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1-25.
-
김용창, 2011.12.
지역연구의 부활시대 공간역사성의 조사와 기록」, 『Museum Review』, 제2호, 서울역사박물관, 34-47.
-
김용창, 2011.06.10.
「도시발전 패러다임 변화와 성장편익 공유도시」, 『저성장시대의 도시정책: 더 좋은 도시, 더 행복한 시민』, 57-93, 한울아카데미(공간과 사회 21권 2호의 논문을 일부 수정·보완 후 다시 수록함).
-
김용창, 2011.03.31.
「새로운 도시발전 패러다임 특징과 성장편익 공유형 도시발전 전략의 구성」, 『공간과 사회』 제21권 1호, 한국공간환경학회, 105-150.
-
김용창, 2011.01.11.
「지리학과 지리교육에서 ‘지리학의 화석화’ 돌파구로서 인간 해방적 관점」, 『제10회 전국참교육실천대회 자료집』, 2-23.
-
김용창, 2010.10.01.
「개발패러다임의 변화와 LH의 역할」, 『녹색의 나라, 보금자리의 꿈』, 토지주택연구원 편저, pp.629-655.
-
김용창·이성호, 2010.09.01.
「미래예측기법을 이용한 주택의 미래분석」, 『지리학논총』 제55/56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69-90.
-
김용창, 2010.06.30.
「공익사업에서 정당보상과 손실보상제도의 쟁점 및 개선에 대한 연구」, 『공간과 사회』 제33호, 한국공간환경학회, 5-47.
-
김용창, 2009.07.08
「수도권-지방의 상생발전과 광역경제권 개발 전략」, 2009 지역발전 국제컨퍼런스 자료집, 대한지리학회·지역발전위원회, pp. 48-80.
-
김용창, 2009.06.01
「물리적 도시재개발에서 도시권으로」, 『창작과 비평』 제37권 제2호 통권 144호, (주)창비, 339-353.
-
김용창, 2009.02.14
일본 Hitotsubashi University 경제학부, Invited fellow DP, No.13.
-
김용창, 2009.02.16
일본 Hitotsubashi University 사회학연구과 및 오사카시립대학 도시연구플라자.
-
김용창, 2008.12.31
「수평적 형평화 기금에 의한 지역균형발전전략 연구(II)」,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6호, 대한지리학회, 914-937.
-
김용창, 2008.10.31
「전사적 품질관리 접근에 의한 지가변동률통계의 품질평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5호, 한국지역지리학회, 553-572.
-
김용창, 2008.09.30
「수평적 지방재정조정제도에 의한 지역균형발전전략 연구(I)」,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대한지리학회, 580-598.
-
김용창, 2008.03.01
「수도권 정책체계의 비정합성 문제와 정책과제」, 『지리학논총』 제51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49-73.
-
김용창, 2007.11.25
「신자유주의 시대 토지공개념의 재정립 필요성」, 『토지공법연구』 제38집, 한국토지공법학회, 521-553.
-
김용창, 2007.06.30
「복지대상으로서 주택 및 지방자치단체의 주거복지서비스 평가」, 『공간과 사회』 제27호, 172-204, 한국공간환경학회.
-
김용창, 2006.12.10
「분양원가 공개와 논란은 쭉」, 『부동산 대해부』,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43-53
-
김용창, 2006
「택지개발사업의 개발이익 추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2권 제5호, 595-613쪽, 한국지역지리학회.
-
김용창, 2006
「주거복지정책의 사회학적 고찰」, 『참여정부 후반기 주거복지정책방향』, 한국주택학회.
-
김용창, 2006
「주거복지정책의 사회학적 고찰」, 『참여정부 후반기 주거복지정책방향』, 한국주택학회.
-
김용창, 2005
「주택담보대출 금융시장에서 Mortgage Broker 역할과 제도화방안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6호, 620-639쪽. 한국지역지리학회.
-
김용창, 2005
「참여정부 주택가격 상승특성과 정책적 제안」, 『토지연구』 제16권 통권 73호, 20-39쪽, 한국토지공사
-
김용창, 2005
「공간-자본시장의 통합과 도시개발금융의 다양화 방법」, 『지리학논총』, 제45호, 239-258쪽,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김용창, 2004
「공간의 생산과 개발이익, 그리고 사회적 기속성」, 『문화과학』 39호, 41-65쪽, 문화과학사.
-
김용창, 2004
「공간의 생산과 개발이익, 그리고 사회적 기속성」, 『문화과학』 39호, 41-65쪽, 문화과학사.
-
김용창, 2004
「부동산중개서비스의 품질혁신과 부동산정보화 체계의 구축」, 『감정평가연구』 제14집 제2호, 201-230쪽, 한국부동산연구원
-
김용창, 2004
「사회경제환경의 변화와 택지개발 방향의 전환」, 『공간과 사회』 제21호, 82-117쪽, 한국공간환경학회.
-
김용창, 2003
「공간유물론 : 자본주의 역사지리의 공간생산론을 위해」, 『지구화시대 맑스의 현재성 1』, 107-125쪽, 문화과학사.
-
김용창, 2003
「개발이익 환수와 지역균형발전」, 『공간과 사회』 20호, 한국공간환경학회.
-
김용창, 2002
「미국과 영국의 감정평가제도 정비에 대한 연구」, 『감정평가논집』 제12집 제2호, 25-52쪽, 한국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 2002
「토지 및 주택정책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책특성」, 『김대중정부의 국토·도시·환경정책 평가 및 차기정부의 과제』, 185-199쪽, 도서출판 대윤.
-
김용창, 2002
「새로운 공간집적 경제와 네트워크 생산체계」, 『첨단산업과 도시』(권오혁 엮음), 45-74쪽, 한울아카데미.
-
김용창, 2001
「일본의 부동산증권화제도 및 REIT 제도」, 『감정평가』 통권47호, 34-47쪽, 한국감정평가협회.
-
김용창, 2001
「부동산증권화와 도시개발금융의 증권화」, 『한국공간환경』제2권 2호, 113-128쪽, 한국공간환경학회.
-
김용창, 2001
「투자대상으로서 REITs의 특성과 운영실태」, 『감정평가』 통권45호, 46-57쪽, 한국감정평가협회.
-
김용창(공저), 2001
「부동산투자회사제도와 도시개발」, 『도시정보』 통권 230호, 3-15쪽,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김용창, 2001
「타산지석: 외국의 리츠제도와 운영실태」, 『PLUS』 110호, 126-129쪽, (주) 플러스문화사.
-
김용창·양승철, 2001
「부동산투자정보의 생산방법과 오피스빌딩 투자수익률 추계」, 『감정평가』 통권 43호, 16-33쪽, 한국감정평가협회.
-
김용창, 2001
「한국 부동산투자회사(REIT)제도의 도입과 잠재적인 감정평가사의 업무 및 역할」, 『감정평가』제42호, 한국감정평가협회, 13-26쪽.
-
김용창, 2001
「부동산시장 및 타당성 분석체계에 대한 연구」, 『감정평가논집』 제11집, 감정평가연구원, 71-97쪽.
-
김용창, 2000
“Production of Space and Capital Investment in the Seoul Office Markets”, 2nd International Critical Geography Conference, pp 348-364.
-
김용창, 2000
「도심부의 경제활동」, 김창석외 공저, 『도시중심부연구』, 보성각, 275-325쪽.
-
김용창, 2000
「지식경제시대에서 감정평가협회의 역할과 과제」, 『감정평가』 39호, 한국감정평가협회, 44-55쪽.
-
김용창, 2000
「도시정치경제학 연구 30년의 쟁점과 성과」, 『한국공간환경』 제1권 제1호, 한국공간환경학회, 3-22쪽.
-
김용창, 1999
「지하·공중공간 이용과 감정평가의 문제」, 『부동산학연구』 제5집,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21-145쪽.
-
김용창, 1999
「부동산서비스 및 중개제도의 문제점과 정책방향」, 『국토』 210호(4월호), 6-19쪽, 국토연구원.
-
김용창, 1999
「입체적 토지이용과 보상기준의 정비」, 『토지공법연구』 제8집, 29-49쪽, 한국토지공법학회.
-
김용창, 1999
「지식경제시대와 부동산서비스업」, 『감정평가논집』 제9집, 39-91쪽, 한국감정평가업협회.
-
김용창, 1998
「소기업 네트워크 생산체계의 사회경제적 의의」, 『공간과 사회』 제10호, 28-58쪽, 한울.
-
김용창, 1998
「지구적 공간통합과 네트워크 도시」, 『현대도시이론의 전환』(한국공간환경학회 엮음), 59-95쪽, 한울
-
김용창, 1998
「도로 및 구거부지의 보상평가」, 『부동산고시』 12월호, 통권 63호, 18-40쪽, 부동산연구사.
-
김용창, 1997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도시경쟁력: 네트워크 도시발전전략」, 『지방자치』 통권 104호, 현대사회연구소, 108-114쪽.
-
김용창, 1997
김용창, 1997 「생활양식과 도시문화: 문화정치적 해석」, 『국토』 통권 제189호, 국토개발연구원, 22-29쪽.
-
김용창, 1997
「산업재구조화와 도시공간구조 변화: 네트워크 도시」, 『국토』 통권 191호, 국토개발연구원, 32-40쪽
-
김용창, 1996
「세계화와 세계도시」, 『도시정보』 15권5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7쪽.
-
김용창, 1996
「서울의 공간이용 이렇게 하자」, 『지방자치』 통권 제 91호, 현대사회연구소, 28-33쪽.
-
김용창, 1995
「생활공간의 관점과 생활세계의 식민화」, 『세계화 시대 일상공간과 생활정치』, 도서출판 대윤, 51-98쪽.
-
김용창, 1995
「공간정치경제학의 전화과정 비판」, 『이론』 12호, 새길, 11-30쪽.
-
김용창, 1995
「사이버 스페이스와 사람의 생활」, 『숙명』 37호, 숙명교지편집위원회, 숙명여자대학교, 96-103쪽
-
김용창, 1994
「‘세계도시’ 추구하는 서울의 6대 개혁과제」, 『월간 말』 2월호(통권 92호), (주) 월간 말, 182-188쪽.
-
김용창, 1994
「마르크스주의 지대론 연구 경향의 변화」, 『지리학논총』 23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97-110쪽.
-
김용창, 1994
「공간정치경제학에의 초대」, 『반시대』 창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자치회, 233-255쪽.
-
김용창, 1994
「자본의 국제화와 거대도시의 재구조화 그리고 서울」, 『공간과 사회』 4호, 한울, 79-123쪽.
-
김용창, 1994
생활의 질을 높이는 도시정책」, 『지방자치』 12월호(통권 75호), 현대사회연구소, 48-54쪽.
-
김용창(공저), 1993
「서울도시경관의 이해」, 『서울연구 : 유연적 산업화와 새로운 도시·사회·정치』, 한울, 412-436쪽.
-
김용창, 1993
「부동산서비스 및 중개제도의 문제점과 정책방향」, 『국토』 210호(4월호), 6-19쪽, 국토연구원.
-
김용창, 1993
「주택재개발사업을 진단한다」, 『지방자치』 6월호(통권 57호), 현대사회연구소, 100-107쪽.
-
김용창, 1993
「새로운 사회운동의 이해와 공간」, 『공간과 사회』 제3호, 한울, 215-224쪽.
-
김용창, 1993
「서울토지문제」, 『서울연구 : 유연적 산업화와 새로운 도시·사회·정치』, 한울, 297-330쪽.
-
김용창, 1992
「한국 주택문제의 구조와 대안적 전략의 모색」, 『한국사회의 민주적 변혁과 정책적 대안』, 역사비평사, 107-151쪽.
-
김용창, 1992
「한국에서 새로운 사회운동의 올바른 논의를 위하여」, 『사상문예운동』 9호, 풀빛, 98-117쪽.
-
[저서 및 보고서]
-
김용창(공저), 2013.12.
『남대문시장: 모든 물건이 모이고 흩어지는 시장백화점』, 서울역사박물관, 461.pp.『남대문시장: 모든 물건이 모이고 흩어지는 시장백화점』, 서울역사박물관, 461.pp.『남대문시장: 모든 물건이 모이고 흩어지는 시장백화점』, 서울역사박물관, 461.pp.
-
김용창(공저), 2013.11.
『국립대학법인의 재산관리, 세재 및 재무보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151pp.
-
김용창(공저), 2013.09.
『비주거용 집합건물 층별 효용표 작성 연구』, 국토교통부(한국감정원). 본문437pp./부록554pp.
-
김용창(공저), 2013.03.
『2012년도 서울대학교 부속시설 평가에 관한 최종 보고서』, 서울대학교. 161pp.
-
김용창(공저), 2012.12.
『동대문시장: 광장, 중부, 방산』, 서울역사박물관, 433pp.
-
김용창(공저), 2011.08.
『동대문시장: 불이 꺼지지 않는 패션 아이콘』, 서울역사박물관.
-
김용창(공저), 2011.08.
『2010년도 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실적 평가보고서』, 기획재정부(공공기관 경영평가단).
-
김용창(공저), 2011.03.
『주택수요변화에 대한 연구』, 통계청 통계개발원.
-
김용창(공저), 2010.12.
『도시재정비 제도개선 소위원회 활동 결과보고서』, 대통령자문 사회통합위원회.
-
김용창(공저), 2010.11.07.
『미래주택 및 주거지의 전망』, 국토연구원.
-
김용창(공저), 2010.10.25.
『세운상가일대 지역조사: 소상공업 실태와 산업생태계』, 서울역사박물관.
-
김용창(공저), 2010.06.17.
『토지은행제도 발전방안 연구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
김용창(공저), 2010.05.10.
『21세기 국토공간 관리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
김용창, 2009.10.31
『중앙일간신문의 부동산광고 특성 및 담론분석』, 서울대학교.
-
김용창, 2009.10.31
『주거분야의 미래이슈 도출과 시험예측』, 국토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9. 9
『개발부담금제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연구』, 국토해양부.
-
김용창(공저), 2009. 05.18
『도시재생정책방향』, 국토해양부 도시재생사업단.
-
김용창(공저), 2008. 12
『도시홍보컨설팅 및 마케팅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광주광역시
-
김용창(공저), 2007, 04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건설교통부).
-
김용창(공저), 2007, 11
『참여정부 주거복지정책의 평가와 과제』, 대통령자문 양극화·민생대책위원회.
-
김용창(공저), 2007, 12
『국토균형발전과 수도권의 역할 및 상생전략』(연구책임),
『경기도 지속가능개발의 당면과제와 추진방안』, 경기개발연구원(한국지역학회).
-
김용창(공저), 2007, 12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과 공공부문의 역할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한국토지공사).
-
김용창(공저), 2006
『지방자치단체 주거복지평가를 위한 연구』, 건설교통부.
-
김용창, 2006
전국지가변동률조사통계 품질 진단연구』, 통계청.
-
김용창(공저), 2005
『8.31 부동산제도 개혁방안의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대통령자문 국민경제자문회의.
-
김용창(공저), 2005
『공인중개사 자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
김용창(공저), 2005
『감정평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연구』, 건설교통부.
-
김용창, 2005
『택지개발사업의 개발이익 실태조사』, 국무총리실.
-
김용창(공저), 2005
『택지개발사업의 개발이익 실태조사』, 국무총리실.
-
김용창(공저), 2005
『지방자치단체 주거복지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를 위한 연구』, 건설교통부.
-
김용창(공저), 2005
『장단기 주택시장 안정방안』, 한국주택학회(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미공개 보고서).
-
김용창(공저), 2004
『한국의 토지 주택정책』, 부연사.
-
김용창(공저), 2004
『부동산학개론』, 부동산114.
-
김용창, 2004
『참여정부 주택·토지정책 패러다임 전환』,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
김용창(공저), 2003
『동북아 경제중심 추진을 위한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방안』, 청와대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
김용창(공저), 2002
『부동산업종별 전문인력 육성방안 연구』, 건설교통부.부.
-
김용창·이성우, 2001
『부동산투자회사(REITs)제도와 감정평가』, 한국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1
『부동산서비스와 거래의 선진화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건설교통부).
-
김용창(공저), 2001
『오피스시장동향: 2000년 1/4분기 – 4/4분기』, 감정평가연구원·삼성에버랜드.
-
김용창(공저), 2001
『부동산투자정보의 생산방법과 오피스빌딩 투자수익률 추계』, 한국감정평가협회·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0
『감정평가산업 선진화 및 영역확장을 위한 교육정보화 사업 기초연구』,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0
『부동산실사 및 평가방법』, 삼성에버랜드/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0
『오피스시장 분석방법』, 삼성에버랜드/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2000
『공간정치경제학』, 한국공간환경학회, 아카넷출판사.
-
김용창(공저), 2000
『부동산시장정보 분석모형 구축방안』, 삼성에버랜드/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9
『1999년도 상반기 부동산동향 분석』,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9
『1999년도 하반기 부동산동향 분석』,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9
『외국의 감정평가제도』,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9
『지하 및 공중공간 사용에 따른 보상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
김용창, 1999
『부동산경제론』, 한국감정평가업협회.
-
김용창(공저), 1998
『1998년도 하반기 부동산동향 분석』,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8
『부동산부문의 연구개발과 감정평가연구원』,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8
『산업구조조정과 부동산서비스업 환경의 변화』,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8
『1998년도 상반기 부동산동향 분석』,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8
『전환기의 지역경제정책』, 삼성경제연구소.
-
김용창, 1997
『네트워크경제와 소규모공장 집적지역의 토지특성에 대한 연구』, 감정평가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7
『도로 및 구거부지 보상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
김용창(공저), 1997
『경기도지방정부에 대한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연구』, 경기개발연구원.
-
김용창(공저), 1997
『환경·문화복지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개발』,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
김용창(공저), 1996
『부동산경제론』, 한국감정평가업협회.
-
김용창(공저), 1995
『한국의 지방자치』, 지방자치실무연구소 편, 의암.
-
김용창(공저), 1989
『현대도시문제의 이해』,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