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4-Plus 미래국토공간 혁신 교육연구단

박수진

박수진

박수진 교수

Park, Soo Jin

전공
토양지리학 / 개발도상국발전문제 / 지표시스템분석 / 자연재해
이메일
catena@snu.ac.kr

학력사항

  • 1990. 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문학사(B.A.)

  • 1992.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문학석사(M.A)

  • 1998. 8.

    School of Geography, Oxford University, D.Phil.

담당강의

  • 학부과목

    토양환경론과 실험, 환경재해와 사회

  • 대학원과목

    하천유역관리, 지표시스템분석론

진행중인 연구과제

연구과제명 지원기관 연구내용
다행위자시스템 (Multi-Agent System)을 이용한 산림생태계 이용 효율화 방안(5) 산림청 다행위자시스템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통해 산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정책 및 환경변화시나리오의 파급효과를 모의할 수 있는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산줄기연결망의 지형, 환경 관리 필요성 및 특성분석 국토연구원 한반도 산줄기 체계에 대한 지형학적 연구를 진행, 사례지역 연구를 통해 최적의 산지관리 방안을 연구
동아시아 경제사회 공동체의 협력과 통합 교육부 동아시아 경제 공동 발전을 위한 협력방안 논의, 경제 네트워크 조성
아시아연구 기반구축 사업 환경협력 연구프로그램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의 각종 환경문제에 대한 자료 구축, 연구방법 분석을 토대로 환경협력의 방안 검토
인공위성자료를 활용한 북한 산림현황 분석사업 한국임업진흥원 토양-경관분석법을 활용하여 북한의 산림토양을 예측함으로써 북한 산림복원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함
산지이용실태조사 산림청 2018년 제2차 산지관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하여 기초자료를 갱신하고 산지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신지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 이를 위해 지형학적 산지규정에 근거한 산지와 평지의 경계를 추출하고, 산지의 지형학적 단위를 GIS 및 모델링 기법으로 분류

주요 경력

  • 2025. 1 - 현 재

    대한지리학회 회장

  • 2024. 11 - 현 재

    지속가능발전 국가위원회 전문위원(파트너십), 총리실

  • 2024. 3 - 현 재

    Future Earth(미래지구), 한국대표

  • 2024. 1 - 현 재

    한국지형학회 회장

  • 2023. 8 - 현 재

    IOM이민정책연구원, 이사

  • 2022. 4 - 현 재

    산림청 국제협력자문위원

  • 2021. 11 - 2023. 10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원

  • 2017. 9 – 2023. 8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소장

  • 2014. 7 – 2016. 6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과장

  • 2010.10 – 현 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

  • 2009.09 – 2012.06

    IFPRI(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Visiting Fellow

  • 2010.09 – 2012.02

    사회과학정보센터 소장 겸 사회과학도서관장

  • 2005.10 – 2010.09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부교수

  • 2008.07 – 2009.0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 2008.01 – 2008.07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소장

  • 2006.08 – 2008.07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과장

  • 2003.06 – 2005.1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조교수

  • 2001.04 – 2003.05

    IFDC (International Fertilizer Development Center), Senior Scientist

  • 2000.04 – 2003.05

    ZEF (Center for Development Research), Bonn, Germany Senior Scientist

  • 1998.04 – 2000.04

    Department of Soil Scienc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Research Associate

  • 1998.01 – 1998.12

    School of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주요연구업적(Publications)

  • [정기학술지 논문]

  • 박수진·고일홍·안유순·심우진, 2025

    “문화유적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국의 토지이용과 공간구조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60(2), 240-259

  • 박수진, 2025

    “한국 유적분포의 시공간적 변화와 지형요인과의 장기적 상호작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지, 37(1), 76-99

  • 박예선, 박수진, 2024

    두만강 유역 중국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핫스팟 분석(1980-2020), 한국지형학회지, 32(4), 83-96

  • Ahn, Y.S. and Park, S.J., 2023

    Developing an Agent-Based Model to Mitigate Famine Risk in North Korea: Insights from the “Artificial North Korean Collective Farm” Model, Land, 12:735-758

  • Shim, W.J., Koh, I.H., and Park, S.J., 2022

    ‘Benefit Maximizing Rout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the Historical Roads of Korea’s Joseon Dynasty (1392–1910),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in Archaeology, 5:96-111.

  • 이명무, 박수진, 김윤호, 2022

    국내 민간 메이커 스페이스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공공성의 역설을 중심으로, 적정기술학회지, 8(2): 66-74

  • 심우진, 장효진, 안유순, 박지수, 최정선, 박수진, 2021

    사면관리단위로써 사면유형화방법의 적용가능성 평가: 산사태 발생지점과 산지전용허가지점의 비교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5(2): 171-182

  • 심우진, 박수진, 2021

    카테나 개념을 이용한 사면유형화 방법의 개발과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55(3): 231-251

  • Kim, D., P. Šamoni, G. Jeong, V. Tejnecký , O. Drábek d, J. Hruška e, S. J. Park, 2019

    Incorpor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improves soil-landform modeling at A and B horizons, catena, 183, 104224

  • IPBES, 2018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for Asia and the Pacific, CBD, Toronto (Co-Author)

  • Carmichael, T. and Yanng, Z.(ed.), 2020

    Proceedings of the 2018 Conference of the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of America, CSSSA: Conference of the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Society of the Americas (Chapter Contribution)

  • 심우진, 박수진, 2018

    토양침식모형의 국내 적용가능성 평가: 방사성 동위원소 137Cs기법을 활용하여, 대한지리학회지 제53권 제1호, 1-18

  • 장효진, 박수진, 2018

    네트워크 과학 관점에서 바라본 산줄기 연결망 체계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대한지리학회지 제53권 제4호, 485-500

  • 박수진, 안유순, 김추홍, 심우진, 이승진, 2018

    북한 토양정보 예측기법의 개발: 북한 토양정보의 중요성과 토양형 추정, 대한지리학회지 제53권 제5호, 649-668

  • Mo, Y., D. K. Lee, K. Song, H.G. Kim, and S.J. Park, 2017

    Applying Topographic Classification, Based on the Hydrological Process to Design Habitat Linkages for Climatic Changes, Forests 2017, 8(12), 466; https://doi.org/10.3390/f8120466

  • Gwanyong Jeong, Hannes Oeverdieck, Soo JinPark, BerndHuwe, and Mareike Ließ, 2017

    Spatial soil nutrients prediction using three supervised learning methods for assessment of land potentials in complex terrain, CATENA Volume 154, July 2017, Pages 73-84

  • Daehyun Kim, Daniel R. Hirmas, Ryan W. McEwan, Tom G. Mueller, Soo Jin Park, Pavel Šamonil, James A. Thompson, and Ole Wendroth, 2016

    Predicting the Influence of Multi-Scale Spatial Autocorrelation on Soil–Landform Modeling,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80(2), 409-419

  • Virasith Phomsouvanh, Vannaphone Phetpaseuth, and Soo Jin Park, 2016

    Study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Hydrological Response using a SWAT model in the Xe Bang Fai River Bas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2), 779-797

  • 박수진, 2016

    “지질과 지형”, 서울시·국립지리정보원(편), 서울지리지, 서울시·국립지리정보원

  • 박수진, 2016

    “동아시아 공통가치로서의 풍수”, 동아시아풍수문화연구회·서울대아시아연구소(편), 동아시아 풍수의 미래를 읽다, 지오북

  • 정관용, 박수진, 2015

    지형분류를 이용한 산지 토양 예측가능성, 한국지형학회지, 22(3), 43-61

  • 이수연, 정관용, 박수진, 2015

    산사태 발생예측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비교평가, 대한지리학회지, 50(5), 485-503

  • 박수진, 안유순, 신유진, 이수연, 심우진, 문지윤, 정관용, 김일권, 허동숙, 성주한, 박찬열, 2015

    다행위자시스템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와 그 영향 분석 : 산림정책의 변화에 따른 가리왕산과 그 일원의 토지이용변화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0(3), 255-276

  • 박수진, 주우영, 이수연, 2015

    한국의 산사태취약지역과 사방지의 환경요인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9(2), 267-285

  • 박수진, 최원석, 이도원, 2014

    풍수 사신사(四神砂)의 지형발달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26(3), 1-19

  • 박수진, 2014

    한반도 지형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대한지리학회지, 49(5), 656-674

  • Kim, I., Le, Q. B., Park, S. J., Tenhunen, J. and Koellner, T., 2014

    Driving Forces in Archetypical Land-Use Changes in a Mountainous Watershed in East Asia, Land, 2014(3), 957-980

  • 박수진, 임종환, 이도원, 최진무, 구홍미, 정진숙, 안유순, 2013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이행의 한계와 한국의 역할, 국제개발협력연구, 5(1), 35-74.

  • 정관용, 양희문, 김석권, 박수진, 2012

    환경요인의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 대한지리학회지, 47(5), 654-676.

  • Nkonya, E., Karsenty, A., Msangi, S., Souza, C., Shah, M., von Braun, J., Galford, G., and Park, S.J., 2012

    Sustainable land use for the 21st century,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Divi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vailable in English at http://www.un.org/esa/dsd/dsd_sd21st/21_reports.shtml

  • 박수진, 2012

    “지형분석을 통한 한국의 적색토 분포 예측 및 해석”, 한국지형학회, 19(2), 1-18

  • A. Akramkhanov, C. Martius, S.J. Park, J.M.H. Hendrickx, 2011

    Environmental factor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salinity on flat irrigated terrain, Geoderma 163, 55-62.

  • Bao, L.Q., Park, S.J., and Vlek, P.L.C., 2010

    Land use dynamic simulator (LUDAS): A multi-agent system model for simulating spatio-temporal dynamics of coupled human-landscape system: 2. Scenario-based applications for impact assessment of land-use policies, Ecological Informatics, 5, 201-221.

  • 박수진, 손연규, 홍석영, 박찬원, 장용선, 2010

    “한국 토양유형의 공간적 분포와 환경변수를 이용한 예측가능성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45, 95-115.

  • 박수진, 2009

    “한반도에 고위평탄면이 존재하는가?”, 한국지형학회지, 15(2), 91-110.

  • 박수진, 2009

    “한반도 평탄지의 유형분류와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44(1), 122-145.

  • Park,S.J., G.R.Ruecker, W.A.Agyare, A. Akramhanov, D. Kim, and P.L.G. Vlek, 2009

    Influence of grid cell size and flow routing algorithm on soil-landform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2), 122-145.

  • Brunner, A. C., S. J. Park, G. R. Ruecker and P. L. G. Vlek, 2008

    Erosion Modelling Approach to Simulate the Effect of Land Management Options on Soil Loss by Considering Caternary Soil Devleopment and Farmers Perception,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 19, 623–635

  • Le, Q.B., Park, S.J., Vlek, P.L.G. and Cremers, A.B., 2008

    Land Use Dynamic Simulator(LUDAS): A multi-agent system model for simulating spatio-temporal dynamics coupled human-landscape system: 1. Structure and theoretical Specification, Ecological Informatics, 3:135-153.

  • Ruecker, G., Brunner, A., Park, S.J., and Vlek, P.L.G., 2008

    Assessment of soil redistribution on two contrasting hillslopes in Uganda using Caesium-137 modeling. Erdkunde, 62(3): 259-272.

  • Kim, D.H., Yu, K.B., and Park, S.J., 2008

    Ide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of complex spatial pattern of coastal dune soil properties using GIS-based terrain analysis and geostatistic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4(4C): 50-60.

  • 박수진·손일, 2008

    “한국의 산맥론(III): 새로운 산맥도의 제안”, 대한지리학회지, 43(3), 276-295.

  • Agyare, W.A., S.J.Park, and P.L.G. Vlek, 2007

    Artificial neural network estimation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Vadose Zone Journal, 6:423-431.

  • 박수진, 2007

    “한반도의 지반운동(II): 한반도 지진분포의 지형학적 해석”, 대한지리학회지, 43(5), 499-517.

  • 박수진, 2007

    “한반도의 지반운동(I):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대한지리학회지, 43(3), 368-387.

  • Tamene, L., S.J. Park, R. Dikau, and P.L.G. Vlek, 2006

    Reservoir siltation in the semi-arid highlands of northern Ethiopia: sediment yield-catchment area relationship and a semi-quantitative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31:1364-1384.

  • Tamene, L., S.J. Park, R. Dikau, and P.L.G. Vlek, 2006

    Analysis of factors determining sediment yield variability in the highlands of northern Ethiopia,Geomorphology, 76:76-91.

  • 이차복·박수진, 2006

    “화성(Mars) Cucus Valles의 발생 프로세스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4(4): 19-30.

  • Park, S.J., P. Almond, K. McSweeney, and B. Lowery, 2006

    Fragipan formation within closed depression in Southern Wisconsin, United States,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 150-167.

  • Park, S.J., N. van de Giesen, Paul L.G. Vlek, 2005

    Optimal spatial scale for land use change modelling : A case study in a savanna landscape in Northern Ghana, Th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Association, 40: 221-241.

  • Park, S.J. C.S. Hwang, and Vlek P.L.G. 2005

    Comparison of adaptive techniques to predict crop yield response under varying soil and land management conditions. Agricultural Systems, 85: 59-81.

  • 박수진, 2005

    “한국산지분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산서, 16: 74-81.

  • 박수진·손일, 2005

    “한국 산맥론(Ⅰ) : DEM을 이용한 산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0(1), 126-152.

  • 박수진·손일, 2005

    “한국 산맥론(II) : 산줄기지도의 제안”, 대한지리학회지, 40(3), 253-273.

  • 신영호·박수진·김성환, 2005

    “신불산 산지습지의 지화학적 특성과 역할”, 한국지형학회지, 12: 133-149

  • 박수진·손일, 2005

    “한반도 산지인식체계의 다양성과 과학성의 문제”, 월간국토, 2005년 8월, 154-160.

  • 박수진, 2005

    “서울시의 대사관의 입지”, 지리학논총, 45: 375-394.

  • Park, S.J. N. and van de Giesen, 2004

    Delineation of soil-landscape units along hillslopes to identify the spatial domains of hydrological processes, Journal of Hydrology, 295: 28-46.

  • Brunner A.C. S.J.Park, G.R. Ruecker, R.Dikau and P.L.G. Vlek, 2004

    Catenary Soil Development Influencing Erosion Susceptibility Along A Hillslope In Uganda,Catena, 58:1-22.

  • Gehring, C., S.J. Park, and M. Denich, 2004

    Liana allometry for biomass estimation in Central Amazonian secondary and primary forests,Forest, Ecology & Management, 195:69-83.

  • 박수진, 2004

    “생태환경특성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39(4), 495-513.

  • 박수진·유근배, 2004

    “지형학적 공간구조의 해석을 위한 DEM의 최적격자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1(3), 1-29.

  • Park, S.J., 2003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studies in developing countries: A Korean Geographer’s perspective and lessons from the GLOWA-Volta project,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y, 42:99-125.

  • Park, S.J. and T.P. Burt. 2002

    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dogeomorphological processes on a hillslope using an indirect gradient analysis,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6:1897-1910.

  • Park, S.J. and P.L.G. Vlek. 2002

    Environmental correlation of three-dimensional spatial soil variability: A comparison of three adaptive techniques,Geoderma. 109:117-140.

  • Park, S.J. and P.L.G. Vlek. 2002

    Soil-landscape analysis as a tool for sustainable land resource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36: 31-49 .

  • Park, S.J., K. McSweeney and B. Lowery. 2001

    Prediction of soils using a process based terrain characterisation,Geoderma103: 249-272.

  • Park, S.J. and T.P. Burt. 2000

    Areal differentiation of weathering intensity identifi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types and clay mineralogy,Zeitschrift fur Geomorphologie, 44: 379-402.

  • Burt, T.P. and S.J. Park. 1999

    Identification of throghflow intensity using the distribution of secondary iron oxides in soils,Geoderma, 93:61-84.

  • Park, S.J. and T.P. Burt. 1999

    The distribution of solute processes on an acid hillslope: I. Exchangeable bases,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4:781-797.

  • Park, S.J. and T.P. Burt. 1999

    The distribution of solute processes on an acid hillslope: II. Exchangeable Aluminium,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24:851-865.

  • 박수진, 1993

    “수문학적 자료를 통한 화강암질 유역의 화학적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28:1-15

  • 박수진, 1992

    “화강암질 하천유역의 물질수지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9:11-27

  • [책으로 출판된 논문]

  • 박수진, 2016

    “지질과 지형”, 서울시·국립지리정보원(편), 서울지리지, 서울시·국립지리정보원

  • 박수진, 2016

    “동아시아 공통가치로서의 풍수”, 동아시아풍수문화연구회·서울대아시아연구소(편), 동아시아 풍수의 미래를 읽다, 지오북

  • 이용우·박수진, 2015

    “국토이용”, 국제미래학회(편), 대한민국미래보고서, 교보문고

  • 박수진, 2014

    “산둥반도에서 본 중국의 땅 이야기”, 정근식·신혜선(편), 2014, 산둥에서 떠오르는 동아시아를 보다, 진인진

  • 박수진, 2012

    “도시재해와 지리정보체계”, 권용우 외, 도시의 이해, 574~621.

  • 박수진, 2010

    Soil, in: NGII(ed.) The Geograph of Korea, 68-74.

  • 박수진, 2010

    “토양지형학적 원리를 이용한 토지이용잠재력 평가”, 허우긍 외, 21세기 국토공간관리방안 연구, 85-111.

  • 박수진, 2010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성과 전통수리시설의 입지”, 한국고고환경연구소(편).
    한국 고대의 농업과 수리시설,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1-56.

  • 박수진, 2008

    “토양”, 한국지리지-총론, 국토지리정보원, 151-163.

  • 박수진, 2016

    “환경”, 한국지리지-수도권편, 국토지리정보원, 79-151.

  • 박수진, 2006

    “동북아시아의 생태위기와 환경협력: 다중스케일적 해석”, 헬레나 노릅레르-호지 외(공저),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 아카넷, pp.104-146.

  • Woelcke, J., T. Berger, and S.J.Park, 2006

    Integrative Water Research: GLOWA Volta, in: Ehlers, E. and Krafft, T.(eds.), Earth System Science in the Antrhropecene : Emerging Issues and Problems, Springer, 169-188.

  • 박수진, 2006

    “도시와 토양”, 김인·박수진(공편), 도시해석, 푸른길, 415-425.

  • brakhimov, M., S.J. Park, and Paul L.G. Vlek. 2004

    Development of Groundwater Salinity in a Region of the Lower Amu-Darya River, Khorezm, Uzbekistan. In: J. Ryan, P.L.G. Vlek, and R. Paroda (eds.), Agriculture in Central Asia: Research for Development, ICARDA, ZEF, 56-75 (In English).

  • 박수진, 2004

    “흙과 문명의 흥망성쇠”, 박삼옥(편),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탐색, 한울아카데미, 107-135.

  • Park, S.J. 2002

    Land use, soil management and soil resilience, In: R.Lal (ed.) Encyclopedia of Soil Science. Marcel Dekker, New York, 1133-1138.

  • Park, S.J. 1997

    Modelling Soil-landform Continuum on a Three-Dimensional Hillslope. Unpublished D.Phil. thesis, Oxford University, 692pp.

  • Park, S.J., T.P. Burt and P.A. Bull. 1996

    A soil-landscape continuum on a three-dimensional hillslope, Quantock Hills, Somerset, In: M.G. Anderson and S.M. Brooks (eds.), Advances in Hillslope Processes, Vol.1, pp. 367-396, John Wiley & Sons, Chichester.

  • 박수진, 1992

    소규모 화강암질 하천유역의 물질수지와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미발표 석사학위논문), 89pp.

  • [저역편서]

  • 김용호, 이명무, 김윤호, 박수진, 2023

    2022 아시아브리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진인진

  • 심우진, 박선영, 허정원, 박수진, 2023

    국가와 도시로 읽은 아시아 지리지: 동북아시아(1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심우진, 박선영, 허정원, 박수진, 2023

    동남아시아/남아시아(2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심우진, 박선영, 허정원, 박수진, 2023

     

    서아시아/중앙아시아(3권),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푸른길

  • 박수진, 이명무, 박양호, 김윤호, 2023

    인도 100대 스마트시티 정책의 통합시스템과 방향-ESG와 SDGs의 통합시스템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 이명무, 김윤호, 박수진, 2022

    세계인의 아시아 인식,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 김용호, 이명무, 김윤호, 박수진, 2022

    2021 아시아브리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박수진, 이명무, 김윤호, 2022

    2021 한국인의 아시아 인식 : 아시아 10대 이슈를 중심으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218p

  • 손정렬, 박수진, 박양호, 이명무, 김윤호, 강성용, 김용학, 사공호상, 이상건, 이재용, 맹현철, 2022

    남아시아의 스마트시티 : 구조와 방향, 진인진, 512P

  • 박수진(총괄편집), 2020

    2020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자연편, 국립지리정보원, 수원

  • Park, S.J.(Editor-in-Chief), 2020

    2020 National Atlas of Korea - Physic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ical Institute, Suwon

  • 박수진∙안유순, 2020

     

    북한지리백서, 푸른길

  • 박수진∙손정렬, 2019

    도시해석, 푸른길

  • 정진숙∙박수진, 2019

    Geo-insight : 둥베이·백두산 :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해외답사 보고, 푸른길

  • 박수진(공저), 2017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 북한의 현실과 남북협력, 서울대

  • 박수진(총괄편집), 2016

    대한민국 국가지도집-자연편, 국립지리정보원, 수원

  • Park, S.J.(Editor-in-Chief), 2016

    National Atlas of Korea - Physic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ical Institute, Suwon

  • 윤순옥, 강지현, 김만규, 김종연, 김창환, 김태호, 박경, 박수진, 박철웅, 박충선, 성영배, 이광률, 이태수, 장동호, 황상일 (공역), 2016

    핵심 지형학(Bierman, P. R. & Montgomery, D. R., 2013, Key Concepts in Geomorphology), 시그마프레스, 528pp

  • 박수진, 정진숙, 안유순, 2013

    동아시아의 환경문제와 환경협력 : 다중계층적 해석; 임현진, 임혜란 편, 2013,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 국가주의적 갈등을 넘어서, 나남

  • 윤순옥, 기근도, 김종연, 김창환, 김태호, 박 경, 박수진, 변종민, 이광률, 성영배, 황상일 (공역), 2013

    지형학 원리(Huggett, R.J., 2012, Fundamentals of Geomorphology,(3rd edition), 시그마프레스, 258pp.

  • 이도원, 박수진, 윤홍기, 최원석, 2012

    전통생태와 풍수지리, 지오북, 245pp.

  • Kwon, Y.W., Lee, M.B., Lee, J.R., Son, I. Park, S.J., Choi, Y.E., Park, B.G., Lee., S.I., Lee, S.C., and Hwang, C.S.(eds.), 2009

    Concise Version of National Atlas of Korea 2007,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of Korea.

  • 박수진·손정렬·김용창(공편), 2008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50년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416pp.

  • 손일·손명원·박경·장은미·서종철·박수진·김성환·박정재(공역), 2008

    휴먼임팩트(Goudie, A., 2006,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6th edition), 푸른길, 559pp.

  • 이도원·성종상·윤순진·박수진(공편), 2008

    한국의 전통생태학2, 사이언스 북스, 463pp.

  • 이민부·이정록·손일·박수진·최영은·박배균·이상일·이승철·황철수(공편), 2007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립지리정보원, 289pp.

  • Lee, M.B., Lee, J.R., Son, I. Park, S.J., Choi, Y.E., Park, B.G., Lee., S.I., Lee, S.C., and Hwang, C.S.(eds.), 2007

    National Atlas of Korea,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of Korea, 289pp.

  • 박삼옥·허우긍·박기호·박수진(공저), 2007

    한 산업개발 및 남북협력방안, 서울대학교 출판부, 250pp.

  • 김인·박수진(공편), 2006

    도시해석, 푸른길, 600pp.

  • 구동회·박수진·정인철(공편), 2006

    한국지리지-강원편, 국토지리정보원, 641pp.

  • 권용우·구자용·김대영·김세용·박수진·오기토 지희로·유환종·이재준·이정훈·조창현·진종헌·최원석·최종남·황철수(공저), 2006

    경기지오그라피, 경기도.

  • 김주환·박수진·공우석·서태열·양보경(공저), 2006

    울릉도 및 독도의 지리적 특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Ruecker, G., S.J.Park, H.Saali, and J. Pender, 2003

    Strategic Targeting of Development Policies to a Complex Region: A GIS-Based Stratification Applied to Uganda, ZEF Discussion Paper, 54pp.

  • 강호정·고동욱·김은숙·박상규·박수진·박은진·안창우·옥기영·유경수·이윤덕희(공역), 2001

    소리 잃은 강(McCully, P., 1996, Silenced Rivers: The Ecology and Politics of Large Dams). 지식공작소, 588pp.

주요참석학회

  • 한국지형학회, 대한지리학회

동향

  • [학술회의 및 심포지움 논문발표]

    동아시아 지형의 특수성과 풍수의 의미, 2014 지리학대회 (2014. 6)

    아시아 지표시스템의 지속가능성과 토지황폐화의 경제성 평가, 2014 지리학대회 (2014. 6)

    How to solve the land degradation issues in Asia, The 3rd scientific of ELD initiatives Workshop, ELD initiative (2014. 6)

    Estimating economic impact of building dams on the Mekong river using an integrated system dynamics,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 4)

    Park, S. J., 2013, Fung Su and Self-orgnised landforms: an old but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sustainable land management, UNCCD, Programme and Short Abstract (2013. 4)

    이응경, 이수연, 이창로, 조희선, 김경아, 박수진, 2013, 우리나라 지역별 생태계 서비스 평가 가치와 토지 가치의 비교, 201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The Sate of Art of ELD: Upscalling grom local mesurement to global assessment, IASS, GIZ, UNCCD, UNEP, The First Global Soil Week (2012. 11)

    행위자 기반 모델을 적용한 한국 구제역 전파경로의 역학적 분석, 복잡계 네트워크, 복잡계와 집단지성 (2012. 11)

    Agent-based Models of Land-Use and Cover Changes in the So-yang River Basin, International Research and Group(DFG-IRTG), Abstract of 2012 TERRECO evalution workshop (2012. 11)

  • [기타]

    한국 풍수인물사, 2014, 민음사, pp.13~25,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