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4-Plus 미래국토공간 혁신 교육연구단

이강원

이강원

이강원 부교수

Lee, Kang-Won

전공
중국 / 역사지리학 / 지정학 / 정치생태학
이메일
haekong1@snu.ac.kr

학력사항

  • 학사 1991.0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문학사)

  • 석사 1993.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문학석사)

  • 박사 2000.08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문학박사)

담당강의

  • 학부과목

    중국지리, 역사지리학, 지리공간의 역사와 사상

  • 대학원과목

    중국지리세미나, 역사지리학세미나, 사회지리학세미나 등

주요 경력

  • 2019.03.01.

    본교 부임

  • 2011.07 – 2013.01

    미국 UC Berkeley 지리학과 방문학자

  • 2002.10 – 2019.02

    전북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01.09 – 2002.08

    서울대학교 시간강사 / 국토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0.08 – 2001.08.

    中國科學院 地理科學與資源硏究所 / 中央民族大學 박사후방문학자

  • 1998.08 – 1999.08

    중국 동북지역 및 내몽고 어룬춘 자치기 현지조사

  • [최근 학술단체활동]

  • 2019.01 – 2020.12

    한국지역지리학회 부회장

  • 2017.01 – 2018.12

    한국지역지리학회 편집위원장

  • 2015.01 – 2016.12

    한국지역지리학회 상임이사(편집부장)

  • 2013.01 – 2014.12

    제9회 한중일 지리학대회 공동조직위원장

  • 2013.01 – 2014.12

    대한지리학회 국제이사

  • [수상]

  • 2018.06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28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수상
    수상논문 : 이강원, 2017, “임진정계 경계표지 토퇴의 분포와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水出)’의 위치,” 대한지리학회지, 52(1), 73-103.

  • 2009.06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수상도서 : 이강원, 2007, 사막중국: 중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폴리테이아.

  • 2006.12

    제1회 대한지리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수상논문 : 이강원, 2005,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커얼친 사지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0(6), 694-715.

주요연구업적(Publications)

  • [출판 연구실적]

  • 이강원 등 87인 공저, 2018

    차이나 핸드북: 늘 곁에 두는 단 한 권의 중국(개정판), 성균중국연구소/김영사.

  • 이강원, 2017

    “임진정계시 두만강 상류 수계 인식과 경계표지물의 종점,” 대한지리학회지, 52(6), 715-761.

  • 이강원, 2017

    “임진정계 경계표지 토퇴의 분포와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水出)’의 위치,” 대한지리학회지, 52(1), 73-103.

  • 이강원, 2016

    “역대 실지조사기록 검토를 통한 임진정계 경계표지물 분포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51(5), 577-612.

  • 이강원, 2015

    “임진정계시 ‘입지암류(入地暗流)’의 위치와 ‘토문강원(土門江源)’의 송화강 유입 여부,” 대한지리학회지, 50(6), 571-605.

  • 이강원 등 74인 공저, 2014

    차이나 핸드북: 늘 곁에 두는 단 한 권의 중국, 성균중국연구소/김영사.

  • 이강원, 2013

    “학회·학과·연구소를 중심으로 본 중국지리학사: 1909~1978,” 대한지리학회지, 48(3), 417-432.

  • 이강원 외 5인 공저, 2012

    “한국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국외 8개국 지리지에 대한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7(1), 121-139.

  • 이강원, 2011

    “근현대 지리학의 아시아연구 경향과 새로운 의제들,” 아시아리뷰, 1(1), 111-144.

  • 박승자·이강원(교신), 2011

    “눌제의 역사지리,” 문화역사지리, 23(1), 55-77.

  • 이강원 등 12인 공저, 2010

    한국지리지 발간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 이강원, 2010

    “대동여지도 백두산-두만강 일대에 표시된 몇 가지 지명의 검토―국경인식, 위치, 어원 및 오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 474-496.

  • 이강원, 2010

    “백두산·천지 지명에 대한 일고찰: 한·중 지명표기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4(2), 129-141.

  • 이강원 번역, 2009

    중국인도 궁금해 하는 중국지리이야기, 푸른길.

  • 이강원 등 17인 공저, 2009

    하나가 둘이되고 둘이 하나가 되는 날: 전북전주·완주혁신도시 마을지, 한국토지공사/ 전북개발공사.

  • 이강원 등 57인 공저, 2009

    The National Atlas of Korea, 국토지리정보원/국토교통부.

  • 이강원 등 22인 공저, 2009

    전북 전주·완주 혁신도시 아카이브 구축용역 사업 최종보고서, 한국토지공사/전북개발공사.

  • 이강원, 2008

    “중국의 행정구역과 지명 개편의 정치지리학-소수민족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5), 627-641.

  • 이강원, 2008

    “범주강삼각주 경제지역 개념과 선전의 위상 설정 문제,” 이일영 엮음, 경제특구 선전의 복합성: 창과 거울, 한신대학교출판부, 131-152.

  • 이강원 등 57인 공저, 2007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지리정보원/국토교통부.

  • 이강원, 2007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두만강・토문강・분계강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 정신문화연구, 30(3), 91-118.

  • 이강원, 2007

    사막중국: 중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폴리테이아.

  • 이강원, 2007

    “조선 초 기록 중 ‘두만’ 및 ‘토문’의 개념과 국경인식,” 문화역사지리, 19(2), 45-57.

  • 이강원, 2007

    “황막화, 사막화, 사화: 중국의 사막화 관련 용어의 정의와 그 면적,” 지리학연구(현 국토지리학회지), 41(1), 67-82.

  • 이강원, 2005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커얼친 사지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0(6), 694-715.

  • 이강원 등 18인 공저, 2004

    한국지리지: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 이강원, 2004

    “한국 지리학계의 중국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2), 235-251.

  • 이강원 등 8인 공저, 2004

    중국 대도시의 발전과 도시인의 삶: 베이징의 사례, 한신대학교 출판부.

  • 이강원 등 19인 공저, 2004

    황사: 한중 황사 조사연구단의 탐사보고서, 동아일보사.

  • 이강원, 2003

    “롭노르 논쟁과 신장 생산건설병단―중국 서북지역 사막화의 사회적 과정,” 대한지리학회지, 38(5), 701-724.

  • 주성재·이강원, 2002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의 실태와 관리방향,” 지리학연구(현 국토지리학회지), 36(4), 283-298.

  • 주성재·이강원, 2002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 이강원, 2002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대한지리학회지, 37(1), 75-92.

  • 이강원, 2002

    “문화대혁명과 소수민족지구의 정치지도: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1-19.

  • Lu Qi, Zhan Jin-yan and Lee Kang-Won, 2001

    “An Overview on the Urban-Rural Interaction in the Past 50 Years in China,”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11(3), 193-200.

  • 이강원, 2001

    “‘산업화된 농민국가’의 출현과정: 중국의 도시-농촌간 인구이동과 호구제도의 기능,” 지리학연구(현 국토지리학회지), 35(3), 197-217.

  • 이강원, 2000

    중국 변강에서 민족과 공간의 사회적 구성: 어룬춘족 사회의 다민족화와 정체성의 정치, 지리학논총 별호 37(서울대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공개출판물).

  • 이강원 번역, 2000

    “하나의 중국원칙과 대만문제(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백서),” 국가전략(세종연구소), 6(2), 235-252.

  • 이강원 번역, 1993

    “(제임스 오코너) 자본주의, 자연, 사회주의-이론적 서설,” 공간과 사회, 3, 33-62.

  • 이강원, 1993

    “총체주의적 환경윤리론의 재구성을 위한 일연구-Aldo Leopold의 ‘The Land Ethic’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21, 53-70.

  • 이강원, 1993

    환경윤리에 있어서 총체주의의 해석에 관한 비판적 연구 – Aldo Leopold의 ‘the Land ethic’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강원 번역, 1992

    “(데이비드 하비) 지리학의 역사와 현상태에 대하여: 역사유물론자의 선언,” 공간환경, 34, 8-19.

  • [학술대회 구두발표]

  • 이강원, 2017

    “백두산정계비 관련 연구의 경과와 한-중 국경에 대한 함의,” 2017 지리학대회 발표 논문 요약집: 포용의 지리학, 125-126.

  • 이강원, 2017

    “임진정계시 두만강 상류 수계 인식과 경계표지물 설치,” 2017 백두산 국제학술회의: 만주 역사지리 연구와 백두산 자료집(동북아역사재단), 189-239.

  • 이강원, 2016

    “임진정계시 목극등의 경로,” 2016년 (사)한국지역지리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30-31.

  • 이정섭·은석인·이강원, 2016

    “전주시-완주군 통합 주민투표에 있어 정보 비대칭 문제,” 2013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 요약집, 127-130.

  • 이강원, 2011

    “지리학과 아시아: 근현대 지리학의 아시아 연구 경향과 새로운 의제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2011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아시아란 무엇인가?: 개념과 쟁점, 47-69.

  • Kang-Won Lee, 2008

    “The Locations and the Meanings of Dumangang, Tomun, Tomungang and Bungyegang in the Archives of Joseon Dynasty,” Share the Asian Trends, Share the Global Future: 3rd Korea-China-Japan Joint Conference on Geography, 81.

  • 이강원, 2008

    “조선시대 기록에 나타나는 두만강·토문·토문강·분계강의 위치와 어의,” Proceedings of the 8th Seoul International Altaic Conference: Methods for Researches on the Altaic Languages and Cultures, 127-153.

  • 이강원, 2008

    “중국 사막화 문제의 실태와 대책,” 제2회 해성세미나: 중국의 환경위기와 동북아 협력, 39-65.

  • 이강원, 2007

    “동북아 역사지도의 농-목 지대 경계 설정을 위한 제언,” 동북아역사지도편찬위원회 주최, 동북아역사재단 후원: 고대 동북아시아 역사지도의 현황과 과제, 81-94.

  • 이강원, 2008.

    지리학적 관점의 재해 연구의 중요성과 역할, 인문학연구 14, 261-289.

  • 이강원, 2006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커얼친 사지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2006년 동계정기학술대회 논문집, 15-25.

  • 李康源, 2004

    “呼倫貝爾盟通古斯地區的生態環境與民族關係,” 中國社會科學院民族學人類學硏究所, 黑龍江大學滿族語言文化硏究中心, 日本東北大學通古斯硏究會合編, 首屆國際滿語通古斯語言文化學術硏討會曁第二屆國際通古斯語言文化硏討會, 日程安排及論文提要, 41.

  • 이강원, 2004

    “한국 지리학계의 중국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집: 해외지역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특별심포지엄, 15-37.

  • 이강원, 2003

    “중국 북방 건조지대의 농업적 토지이용과 황사문제,” 동아일보 21세기평화연구소: 황사와 한중협력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31-49.

  • 이강원, 2002

    “롭노르(Lop-Nor) 논쟁을 통해 본 중국의 사막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6.

  • 이강원, 2002

    “롭노르 논쟁과 신강생산건설병단: 중국 사막화의 한 단면,” 현대중국학회 연차총회 및 학술대회: 한중수교10주년-중국의 변모와 한중관계, 27-33.

  • 이강원, 2002

    “羅布泊(Lop-Nor) 論爭과 新疆生産建設兵團: 중국 변강에 있어 새로운 사회집단의 이주와 환경변화,”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요약집, 106-110.

  • Kang-Won Lee, 2000

    “The Migration from Core Area and the Ethnic-Environmental Change of the Marginal Area in China: A Case Study on the Oroqen Minority Nationality Autonmous County,” Abstracts: 2000 Annual Conference of IGU Commission on the Dynamics of Marginal and Critical Regions.

  • 이강원, 2000

    “문화대혁명과 소수민족지구의 정치지도: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2000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요약문, 1-7.

  • 이강원, 1999

    “‘변강’과 ‘민족’의 생산: 중국 따싱안링 산지 어룬춘-다민족지구 현지조사 보고,” 1999년도 한국지리학대회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회 논문집, 139-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