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4-Plus 미래국토공간 혁신 교육연구단

교육 연구 클러스터

교육연구 클러스터 개요

비전
산업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국토 공간의 재생 및 회복 모델을 구축
연구분야
재생과 지역활성화, 국토 재구조화와 회복, 생활양식과 일상공간
세부연구분야
  • 도시재생 및 지역활성화
  • 국토공간 재구조화 및 회복
  • 인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와일상 공간의 재구성
연구키워드
  • 지역경제
  • 균형발전
  • 저출산 고령화
  • 다문화 공간
  • 도시재생
  • 환경회복
  • 동아시아 평화 네트워크
  • 일상공간
  • 인구구조
  • 젠트리피케이션
  • 대도시 광역화
주요연구과제
탈제조업화, 제트리피케이션, 도시재생, 토지 · 부동산개발, 수도권 공간 확산, 초광역도시체계, 중앙-지방 관계, 영역성과 영토화, 통일 국토, 동아시아 평화 네트워크, 저출산 고령화, 인구구조의 변화, 일상 공간의 재구성, 이주민, 소수자, 다문화 공간

커리큘럼

국토 공간의 재생과 회복
연구 주제 학부 대학원 학내 대학원 유관 교과목
1) 도시 재생 및 지역 재활성화 경제지리학,
도시지리학,
토지주택론,
산업입지와 정책,
경영지리학의 이해,
법제지리학과 도시지역정책,
교통과 정보통신의 지리학
도시지역정책연구,
경제지리학세미나,
기업지리학,
토지주택론연구,
도시경제지리학,
도시지리학세미나,
세계도시론,
교통과 정보통신지리학 세미나,
장소마케팅세미나,
경영지리학연구,
입지론연
  • 산업조직론, 기업구조와 성장론 연구 등 (경제학과), 도시사회학세미나 (사회학과), 도시인류학, 일과 산업의 인류학, 기업문화의 전지구화 등 (인류학과)
  • 도시재개발론, 도시계획연구방법론, 교통망이론 등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공간구조론 등 (스마트도시공학전공), 도시설계론, 도시형태론 등 (도시설계학전공), 스마트시티 법제도와 정책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 경제활동과 입지론 특강 등 (지리교육과)
  • 도시· 지역세미나, 공공민간협동개발, 도시혁신세미나, 부동산시장분석, 토지이용계획론, 토지·주택정책 등 (환경계획학과)
2) 국토 공간의 재구조화 및 회복 기후학과 기후변화,
한국지리,
수도권지리,
환경재해와 사회,
공간정치와 지정학,
환경보전론자원론,
북한지역연구특강,
스마트도시의 지리
한국지리연구,
기후환경변화세미나,
보건지리학세미나,
환경지리학,
정치지리학세미나,
지정학과 공간정치경제 세미나,
스마트도시연구 세미나
  • 공공정책분석, 북한정치연구 등 (정치학과), 동북아국제관계론, 환경·에너지의 국제정치 등 (외교학과), 환경사회학연구 등 (사회학과), 남북한 관계와 통일 연구 등 (평화통일학전공)
  • 대기오염 및 분산 등 (지구환경과학부), 과학기술과 사회주제 연구 등 (과학사 및 과학철학전공), 지속가능한 물관리, 오염물질이동해석 등 (건설환경공학부), 에너지정책세미나 등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산업과 에너지환경전략 등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 지역개발연구 등 (농경제사회학부) 주택 및 사회인구론, 지역성장 및 입지경제학 등 (지역정보전공)
  • 국토·지역계획론, 통일과 도시계획, 공간구조연구, 교통정책연구 등 (환경계획학과)
  • 동아시아지역의 이해,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국 등 (국제학과)
3) 인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와 일상 공간의 재구성 인구변동과 이동의 지리학,
사회지리학,
문화지리학,
지리공간의 역사와 사상,
역사지리학
공간사상사세미나,
젠더다문화지리학세미나,
문화지리학세미나,
사회지리학세미나,
역사지리학세미나,
인구지리학세미나
  • 인구와 경제연구 등 (경제학과), 인구사회학 세미나, 사회변동론 세미나 등 (사회학과), 초국가적 이주와 디아스포라 등 (인류학과), 사회보장제도론 등 (사회복지학과), 젠더 정책과 국가 (여성학전공)
  • 사회· 문화적 다양성과 건강 등 (간호학과)
  • 인구지리교육론 특강 등 (지리교육과)
  • 젠더와 도시계획, 공간의 문화사회학 등 (환경계획학과)
  • 국제이주, 협력과 개발, 국제이주와 사회문화적 쟁점 (국제학과)

필요소양 및 진로분야

필요소양
  • 경제환경의 전환에 따른 도시 및 지역공간의 재구조화, 인구이동의 증가와 인구구조의 변화에 의한 사회공간적 영향, 팬데믹 등 위기상황에서의 도시 및 지역의 회복력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계량적 방법(quantitative method) 혹은 질적 방법(qualitative method)을 활용하여 현재 한국의 도시 및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의 본질을 규명하며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국토공간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문제해결의 대안을 제시해 주는 연구자로서의 역할에 관심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본 프로그램에 적합한 소양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음
진로 분야
  • 지리학, 도시지역정책 분야, 문화컨텐츠 관련 전공의 대학교수, 학예사, 도시지역계획 및 문화관광정책 분야 국·공립연구기관, 국제문화기구, 시민단체, 문화·관광해설사, 도시지역계획 공무원, 감정평가사, 부동산개발 및 컨설팅 등 다양한 관련 분야로 진출 가능

구성원

손정렬

손정렬 교수

Sohn, Jungyul

클러스터장

전공
도시지리학, 교통지리학, 도시분석기법
김용창

김용창 교수

Kim, Yong Chang

전공
토지·주택론, 도시지역정책론, 법제지리학, 경영지리학
신혜란

신혜란 교수

Shin, HaeRan

전공
정치지리, 이민자, 기억공간, 도시재생
이강원

이강원 교수

Lee, Kang-Won

전공
중국지리, 역사지리학, 정치생태학, 지정학